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몬 팝

덤프버전 :

파일:레몬뽀뿌.jpg
이름レモンポップ
Lemon Pop
출생2018년 2월 15일 (6세) 파일:미국 국기.svg
성별수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레몬 드랍 키드(Lemon Drop Kid)
어미언리처블(Unreachable)
외조부자이언츠 코즈웨이
(Giant's Causeway)
생산자올리버 S. 테잇 부부
(Mr & Mrs. Oliver S. Tait)
마주고돌핀 레이싱
조교사타나카 히로야스 (미호)[1]
성적13전 9승 [9-3-0-1]
11전 8승[중앙]
1전 1승[지방]
1전 0승[UAE]
총상금3억 5843만 8000엔
2억 8843만 8000엔[중앙]
7000만 엔[지방]
주요
우승
G1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23)
Jpn1[Jpn]마일 챔피언십 남부배(2023)
G3네기시 스테이크스(2023)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레몬 드랍 키드
Lemon Drop Kid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킹맘보
Kingmambo
1990
파일:미국 국기.svg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미에스크
Miesque
차밍 래시
Charming Lassie
1987
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슬루
Seattle Slew
래시 디어
Lassie Dear
언리쳐블
Unreachable
2009
파일:미국 국기.svg
자이언츠 코즈웨이
Giant's Causeway
1997
파일:미국 국기.svg
스톰 캣
Storm Cat
마리아스 스톰
Mariah's Storm
하르피아
Harpia
1994
파일:미국 국기.svg
댄지그
Danzig
라자냐
Razyana
* 노던 댄서 5×5×4 12.5%
* 벅패서 4×5 9.375%
* 나탈마 5×5 6.25%

부마 레몬 드랍 키드는 1999년 미국 클래식 3관 대회 중 마지막 대회인 벨몬트 스테이크스에서 우승한 경주마[2]이며, 벨몬트 스테이크스를 포함해, 1998년 트레버 스테이크스와, 2000년 휘트니 핸디캡을 우승해 총 G1 3승의 기록을 남기고 은퇴했으며, 그 후 종마로 전업하여 켄터키 오크스를 우승한 레몬즈 포에버(Lemons Forever), 다이애나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소말리 레모네이드(Somali Lemonade) 등 더트, 터프 가리지 않고 G1 우승마를 배출했다.

모부인 자이언츠 코즈웨이는 3세 시절이던 2000년에,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를 포함해 마일과 중거리 전선에서 G1 5승을 거두고 유럽 카르티에상 연도대표마에 올랐던 말이며, 선천적으로 강인하고 체질이 정말 튼튼해서 아이언 호스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으며, 담당 조교사인 에이든 오브라이언[3]이 진정한 챔피언으로 칭찬했을 정도이다.[4]

모계 2대조 하르피아의 전형제로 명종마 데인힐이 있다.


3. 커리어[편집]



신마전 이후 카틀레아 스테이크스(OP)에서 2착마 타케루 페가수스와 둘만의 경주를 하였고, 우승과 동시에 후속을 대차로 때어버리는[5] 인상적인 활약으로 주목받았었다. 이후 클래식 시기의 차주는 5월 26일에 열리는 히아신스 스테이크스(OP)가 공언되었으나, 완전히 백지화 된 채 12월 달의 2승 클래스 경주에 나오게 되었다. 결과는 2번 인기인 케이아이 도리에게 1.25마신차 패배.

2022년에는 결국 2승 클래스를 빠져나와 승리 가도를 걸었다. 특히나 4월의 가마쿠라 스테이크스(3승)에서는 6마신차 압승을 거뒀다. 중상 그레이드로 올라와서는 무사시노 스테이크스(G3)에서 길디드 미러에게 추격을 허용해 코 차이로 패배. 2023년에는 네기시 스테이크스(G3)에서 역으로 길디드 미러에게 승리를 거둔 후, 길디드 미러가 박리골절로 은퇴하여 나오지 못한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서 가볍게 우승하며 첫 G1을 가져갔다.[6]

이후 두바이 국적의 마주를 따라 두바이 골든 샤힌에 출전했으나 10착으로 참패를 당했다.

이후로는 10월 9일에 열리는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의 출주를 준비하고 있다. 한때 시리우스 스테이크스도 상정하고 있었지만 남부배로 확정했다.


그렇게 출전한 남부배에서는 도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선두를 내주지 않은 채 2000년 더비 그랑프리[7] 이후 23년만에 G1급 경기에서 대차(2초 차이)를 기록하며 압승했다.

4. 기타[편집]


  • 현재까지 커리어 11전 중에 9전이나 도쿄 경마장에서 뛰었다, 도쿄 전적은 9전 8승 2착 1회. 현재로서는 뭔가 도쿄 전용기 계열 경주마가 될거 같다.
  • 기본적으로 덩치가 크면서도 빠른 말들에겐 중전차란 별명이 자주 붙곤 하는데 현세대에서 중전차의 별명을 가진 말이 바로 이 레몬 팝이다. 일반적으로 잔디에서 달리는 말들에 비해 더트에서 달리는 말들이 상대적으로 덩치가 더 큰 편인데[8] 레몬 팝은 그런 거구들 사이에서도 중던차 소릴 들을 정도로 마체가 탄탄한 말로 유명하다.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20년 (2세)
11.7도쿄2세 신마더트 1300m1.711착토사키 케이타(사토노 무스탕)
11.28도쿄카틀레아 스테이크스OP더트 1600m2.421착(타케루 페가수스)
2021년 (3세)
12.12한신슈쿠가와 특별2승더트 1400m2.212착크리스티안 데무로케이아이 도리
2022년 (4세)
1.5주쿄4세 이상 2승 클래스더트 1400m1.612착크리스티안 데무로토센 알란
1.30도쿄4세 이상 2승 클래스더트 1400m1.511착토사키 케이타(노리스)
4.24도쿄카마쿠라 스테이크스3승더트 1400m1.411착(파시네이트 제트)
5.28도쿄게야키 스테이크스OP더트 1400m1.611착(타가노 뷰티)
10.30도쿄페르세우스 스테이크스OP더트 1400m1.411착(타이세이 삼손)
11.12도쿄무사시노 스테이크스GIII더트 1600m1.712착길디드 미러
2023년 (5세)
1.29도쿄네기시 스테이크스GIII더트 1400m1.611착토사키 케이타(길디드 미러)
2.19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GI더트 1600m2.211착사카이 류세이(레드 르젤)[9]
3.25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메이단두바이 골든 샤힌G1더트 1200m미발매10착시벨리우스
10.9모리오카마일 챔피언십 남부배JpnI더트 1600m1.511착(이그나이터)[1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로 창설
1984
로바리아 아몬
1985
앙드레 아몬
1986
하츠노 아모이
1987
리키산 파워
1988
로만 프린스
1989
벨벳 글로브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러시안 골드
1993
메이쇼 호무라
중앙 GII 승격 후
1994
치어스 아톰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중앙 GI 승격 후
1997
신코 윈디
1998
구르메 프론티어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윙 애로우
2001
노보 트루
2002
아그네스 디지털
2003
골드 알뤼르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메이쇼 볼러
2006
카네 히키리
국제 GI 지정 후
2007
선라이즈 바커스
2008
버밀리언
2009
석세스 브로켄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테스타 마타
2013
그레이프 브랜디
2014 · 2015
코파노 리키
2016
모아닌
2017
골드 드림
2018
논코노 유메
2019
인티
2020
모즈 애스콧
2021 · 2022
카페 파라오
2023
레몬 팝



파일:nar_clear1.png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JpnI)
우승마
파일:이와테현 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88
파일:타카사키시 시장.svg 그레이트 서 펜
1989
파일:야마가타현 문장.svg 다이코 갈단
1990
그레이트 호프
1991
파일:니가타현 문장.svg 타케덴 파이터
1992
파일:우츠노미야시 시장.svg 타케덴 만게츠
1993 · 1994
토케이 니세이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이키 셜록
1998
메이세이 오페라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니혼 필로 주피터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티아라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아그네스 디지털
2002
토호 엠퍼러
200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4 ·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유토피아
2006 ~ 200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3연패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로 마이스터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트랜센드
2012 ·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4 ·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베스트 워리어
2016 ·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르 방 스 레브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선라이즈 노바
2020 ·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아르크토스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페 파라오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레몬 팝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네기시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87
그레이스 시라오키
1988
위닝 스마일
1989
다이나 레터
1990
에코 트랜스
1991
토모에 리젠트
1992
해피 기네스
1993
프로스트 라인
1994
후지노 맛켄 오
1995
영 에블로스
1996
스톤 스테퍼
1997 · 1998
워싱턴 컬러
1999
셀렉트 그린
2000
브로드 어필
2001
노보 트루
2002 · 2003
사우스 비고러스
2004
섀도우스케이프
2005
메이쇼 볼러
2006
리미트리스 비드
국제 G3 지정 후
2007
빅 그래스
2008
와일드 원더
2009
페라리 피사
2010
글로리어스 노아
2011
세이 크림슨
2012
실크 포춘
2013
메이쇼 마슈
2014
고르스키
2015
에어 할리파
2016
모아닌
2017
카후지 테이크
2018
논코노 유메
2019
코파노 키킹
2020
모즈 애스콧
2021
레드 르 젤
2022
티엠 사우스 댄
2023
레몬 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0:13:10에 나무위키 레몬 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9년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티엠 프리큐어랑 대도주 콤비로 희대의 역배를 일으켜서 1착을 따냈던 퀸 스푸만테의 기수였다.[중앙] A B [지방] A B [UAE] [Jpn] Jpn등급은 국제등급을 부여받지 못한 경주로 L(리스티드)경주로 취급된다.[2] 당시 3착이 1999년 2관마 카리스마틱으로, 카리스마틱은 이 경기 이후 일어난 다리 골절로 은퇴했다.[3] Aidan O'Brien, 유럽 내에서 최고의 조교사로 꼽힌다.[4] 자이언츠 코즈웨이는 브릭스 앤 모르타르의 부마이기도 하다.[5] 1착과 2착이 1.5마신 차, 2착과 3착이 10마신 차.[6] 이 날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서는 주전 기수였던 토사키 케이타가 이날 4착을 기록했던 드라이 스타우트에 선약이 잡혀있어, 대타로 사카이 류세이가 기승했다.[7] 이때는 레귤러 멤버가 2.1초 차이 대차로 우승했다.[8] 잔디쪽 말들중에선 대충 480kg을 넘어서면 마체가 큰 편이다(단, 단거리 경주마들의 경우 장거리마들에 비해 조금 더 나간다)라는 소릴 하곤 하는데 더트쪽에선 480~490 정도가 보통이고 좀 이름난 말들은 기본 500을 넘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부쿠마 포로메이세이 오페라처럼 490대의 명마들도 있긴 하지만 페이트 노던, 토케이 니세이, 스마트 팔콘, 홋코 타루마에, 코파노 리키, 원더 어큐트 등 더트마들은 대부분 500kg을 넘기는 거구들이다.[9] 2021년 JBC 스프린트 우승마다.[10] 효고 소속의 지방마. 이후 11월 3일 오이에서 열린 JBC 스프린트를 우승했다.